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54

MTA란?(Minimum Turning Altitude, 최저 선회 고도) 지금까지 여러 IFR 고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MTA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를 위해 지난 글들에서 다뤘던 IFR 고도를 링크로 달아 놓는다. MOCA, MCA, MEA, MRA, MAA가 그것. MOCA란? (Minimum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최저장애물회피고도)나는 앞서 세 개의 글을 통해 고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고도의 종류와 고도계 세팅에 대한 방법이었는데 여기서 소개한 고도가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고도를 모두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 외elrelojsintiempo.tistory.comMCA란?(Minimum Crossing Altitude, 최소교차고도)이전 글에서는 계기비행 차트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고도를 살펴보았다. MOCA와 MEA가 그것.. 2020. 12. 22.
MAA란?(Maximum Authorized Altitude, 최대 허용 고도) 지난 글들에 이어, 새로운 IFR 고도에 대해 다룬다. MAA다. MAA. 굉장히 애매한 용어다. 이 포스팅에서는 최대 허용 고도로 명시하지만, 최대 인가 고도, 최고 승인 고도 등 다양한 명칭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다음의 글을 찬찬히 읽어보면 이 고도가 왜 무엇을 의미하며, 조종사에게 왜 필요한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를 위해 지난 시간에 다룬 고도들을 아래에 링크로 달아둔다. MOCA, MEA, MCA, MRA가 그것. [항공 이야기] - MOCA란? (Minimum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최저장애물회피고도) MOCA란? (Minimum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최저장애물회피고도) 나는 앞서 세 개의 글을 통해 고도에 대.. 2020. 12. 16.
바다의 숲, 숲의 바다 어제 진해에 착륙한 후 주변을 둘러보다가 만난 대나무숲. 진해까지의 비행에 관한 단상은 아래의 글에 달아 놓았다. - 비행을 하며 만난 몇 가지의 풍경들 - 바닷바람을 맞은 대나무는 어디가 좀 다르다. 느릿느릿. 저의 의지와 상관없이 바람에 몸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것을 오래 전에 받아들인 듯도 하다. 그 흔들거림을 나무는 즐긴다. 그러면서 여러 모양을 흉내낸다. 물살에 흐느적거리는 해초(海草) 흉내도 내고 하늘을 활공하는 새의 날갯짓 흉내도 낸다 뜨거운 술 한모금을 마시고 블루스를 추는 연인을 흉내 내고 자신을 흔들리게 하는 바람, 그 자체를 흉내 낸다 흉내. 라는 단어보다 더 정감어린 단어가 없을까. 모방? 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정교한 감이 있다. 패러디? 라고 하기에는 숭고하고 오마주? 라고 하기에는.. 2020. 4. 17.
석류와 수류탄(석류, 지연신관수류탄, 수류탄의 원리) 이야기 하나. 석류와 수류탄 집에 돌아오는 길에 과일가게를 지나는데 석류가 빠알갛게 올라와 있다. 석류 세 알을 사서 돌아온다. 석류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과일이자, 이야기해줄 것이 있는 과일이기도 하다. 집에 돌아와 나는 수류탄을 던지는 시늉을 하며 아이들에게 묻는다. "이게 뭐게" "수류탄이요." "거기서 앞에 수를 빼봐." "류탄" "류탄이지. 류류류유유유" "유탄" "들어봤어?" 무기에 관심이 많은 첫째, 바로 이야기가 나온다. '유탄발사기'. "그래. 유탄발사기. 유탄과 수류탄의 차이는 뭘까?" "아. 수류탄은 손으로 던지는 유탄이요." "빙고." "오늘은 수류탄에 대해서 알아보자." 석류를 꺼낸다. "이건 뭐지? "석류요"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그게 뭐에요?" "있어. 그런게." "그런데.. 2019. 12. 7.
MRA란?(Minimum Reception Altitude, 최저수신고도) 오랜만에 항공 관련 글을 쓴다. 이전까지 쓴 여러 고도들에 대해 짚고 넘어가면, 우선 최저장애물회피고도인 MOCA, 최저항로고도인 MEA가 있었다. 둘 모두 장애물로부터 안전이 보장되지만, MOCA는 VOR 기준반경 22NM 내에서 항법 수신이 보장되는 반면 MEA는 VOR 기준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법수신이 가능한 고도이다. 최저교차고도 또는 최저통과고도인 MCA는 항로 상 Fix의 상공을 지나갈 때 요구되는 최저고도를 의미한다. 각 고도에 관해서는 아래에 링크를 달아둔다. MOCA란? (Minimum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최저장애물회피고도) 나는 앞서 세 개의 글을 통해 고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고도의 종류와 고도계 세팅에 대한 방법이었는데 여기서 소개한 고도가 .. 2019. 11. 30.
헤드라인은 무엇을 견인하는가, 견인해야 하는가 헤드라인(Headline)에 관하여 기사를 볼 때 눈에 가장 처음 들어오는 부분이 헤드라인이다. 헤드라인을 먼저 읽고 관심이 가면 그 아래의 내용을 자세히 읽고, 관심이 없으면 지나간다. 헤드라인은 기사의 구성 중 글씨가 가장 크고, 주로 문장보다는 단어들로 이어져 강렬한 인상을 준다. 최근에는 종이신문보다는 인터넷 신문을 많이 본다. 인터넷 신문에서도 이러한 헤드라인의 역할은 두드러진다.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내보내고 있는 인터넷 화면에서, 기사가 자신을 어필할 수 있는 방법은 사진과 제목 정도가 되겠는데, 사진의 게시 공간도 할애받지 못한 기사들은 어떻게든 제목으로 자신을 어필할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제목은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경향을 띤다. 자극적이라고 해도 그 자극성이 기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2019. 11.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