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여러 IFR 고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MTA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를 위해 지난 글들에서 다뤘던 IFR 고도를 링크로 달아 놓는다.
MOCA, MCA, MEA, MRA, MAA가 그것.
MTA(Minimum Turning Altitude, 최저 선회 고도)의 정의
MTA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Minimum Turning Altitude (MTA) - Minimum turning altitude (MTA) is a charted altitude providing vertical and lateral obstruction clearance based on turn criteria over certain fixes, NAVAIDs, waypoints, and on charted route segments. When a VHF airway or route terminates at a NAVAID or fix, the primary area extends beyond that termination point. When a change of course on VHF airways and routes is necessary, the enroute obstacle clearance turning area extends the primary and secondary obstacle clearance areas to accommodate the turn radius of the aircraft. Since turns at or after fix passage may exceed airway and route boundaries, pilots are expected to adhere to airway and route protected airspace by leading turns early before a fix. The turn area provides obstacle clearance for both turn anticipation (turning prior to the fix) and flyover protection (turning after crossing the fix). Turning fixes requiring a higher MTA are charted with a flag along with accompanying text describing the MTA restriction.
위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 MTA의 MT에는 여러 뜻이 함축되어 있다. '최저'로 '선회'하라는 것이 아닌, 선회하였을 때 고고도 장애물로부터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저 고도를 의미한다. MTA는 항로상 지점에서 선회 시, 장애물의 회피를 보장하는 고도로써 조종사가 항로를 이탈할 것을 예상하여 해당 지점 이전에 선회했을 때만 그 고도를 보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MTA는 왜 필요한 것일까? 선회 반경은 항공기의 속도와 큰 연관이 있다. 항공기의 속도가 두 배가 되면 선회 반경은 네 배가 된다. 즉 항공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선회 반경은 커진다.(반대로 생각하면, 항공기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선회 bank를 더 주어야만 선회 반경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고고도에서 빠르게 비행하고 있는 항공기를 상상해보자. fix 상공이나 경유 이후의 선회는 항로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사들은 fix 이전에 선회를 함으로써 항로를 준수하고자 노력한다. 이때 MTA 이상을 유지해야만 선회 간 고고도 장애물의 조우를 피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내용은 차트에서 MTA 읽는 법을 익히면서 자세하게 알아보자.
차트에서 MTA 읽는 법
출처: Charting on the MTA(클릭시 이동)
MTA는 차트에서 MTA라는 지시어와 함께 명시되어 있다. 왼편의 차트를 살펴보자.
차트를 보면 JAWBN fix에 대한 MTA가 명시되어 있다. MTA에 나와있는 fix의 이름은, 선도 fix이다. '그곳으로 향하고 있는' 항로를 의미한다. 위 차트에서의 MTA를 그대로 옮겨놓고, 해석해보자.
JAWBN
MTA
V495 SE TO V4 W 8000
이 MTA는 JAWBN fix를 향할 때 유효하다.
V495항로 상 SE(South East) 방면으로 이동하여
JAWBN fix를 거쳐
V4 항로를 W(West) 방면으로 비행할 때
선회시, 장애물로부터 회피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8,000ft 이상의 고도를 유지할 것.
그렇다면 오른편 차트도 한번 살펴보자.
ALLAN fix의 MTA이다. 여러 항로가 이 fix를 관통하고 있으며, 항로의 다양함 만큼이나 선회의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에 MTA역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V361항로에서 ALLAN fix를 향해 비행할 때의 MTA를 살펴보자.
ALLAN
MTA
V361 SW TO V85 SE 14700
V361 SW TO V85 NW 16500
이 MTA는 ALLAN fix를 향할 때 유효하다.
V361항로 상 SW(South West) 방면으로 이동하여
ALLAN fix를 거쳐
V85 항로를 SE(South East) 방면으로 비행할 때
선회시, 장애물로부터 회피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147,000ft 이상의 고도를 유지할 것.
V361항로 상 SW(South West) 방면으로 이동하여
ALLAN fix를 거쳐
V85 항로를 NW(North West) 방면으로 비행할 때
선회시, 장애물로부터 회피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165,000ft 이상의 고도를 유지할 것.
MTA고도는 그렇게 흔히 나타나는 고도는 아니다. 하지만 명시가 되어 있다면 지켜야 할 분명한 이유가 있다. 계기비행시 차트에 나와 있는 정보를 세밀하게 살피고 숙지해야만이 안전을 보장 받을 수 있기 때문. 다음의 글에는 OROCA에 대해서 알아본다.
'항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RA 및 grid MORA란?(Minimum Off-Route Altitude, 최저 비항로 고도) (20) | 2021.04.15 |
---|---|
OROCA란?(Off-Route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비항로 장애물 회피 고도) (2) | 2021.04.08 |
MAA란?(Maximum Authorized Altitude, 최대 허용 고도) (0) | 2020.12.16 |
바다의 숲, 숲의 바다 (2) | 2020.04.17 |
MRA란?(Minimum Reception Altitude, 최저수신고도) (2) | 2019.11.30 |
댓글